본문 바로가기
건강 정보

방문 재활 [대퇴골두 무혈관성 괴사] 사타구니, 고관절 통증의 주 원인

by 더피지오 2022. 2. 25.

 


안녕하세요 더피지오입니다.

 

이번 포스팅은 대퇴골두 무혈관성 괴사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대퇴골두 무혈관성 괴사에 대해서 여러분들은 잘 알고 계신가요?

 

이름만 들으면 어려운 말들로 되어있어 어떤 병인지 파악하기 힘든데요.

제가 하나하나 풀어서 쉽게 설명해드리겠습니다.

 

조기에 발견할수록 대비할수있는 질병

'대퇴골두 무혈관성 괴사' 알아보러 가볼까요?

 

용어정리

 

-고관절 (엉덩관절) : 골반과 대퇴골을 잇는 관절을 말합니다.

-대퇴골 (넙다리뼈) : 우리가 흔히 아는 허벅지 뼈를 말합니다.

-대퇴골두 (넙다리뼈 머리) : 허벅지 뼈의 동그란 머리부위를 말합니다.

 

 

 

우리의 대퇴골 (넙다리뼈)에는 혈액공급이 이루어지는 혈관들이 그림과 같이 존재합니다.

이 부위에 제대로 된 혈액이 공급되지 않으면 뼈가 썩게 되어 괴사(죽음)가 일어나게 됩니다.

 

 

이렇게 뼈에 혈액 공급이 원활하지 못하여 뼈가 썩는 병을

'무혈관성 괴사'라고 합니다.

 

 

주로 일어나는 부위로는

-대퇴골두

-수부주상골

-무릎뼈

-어깨뼈

가 있습니다.

'대퇴골두 무혈관성 괴사' 란?
 

 

 

그중 가장 흔한 것이 '대퇴골두 무혈관성 괴사' 입니다.

 

 

즉, 대퇴골두 무혈관성 괴사란?

허벅지뼈의 머리부분에 피가 통하지 않아 이 부분이 괴사하는 병을 말합니다.

 

 

 

 

특징으로는

-60%가 양측성

-30~50대에 발생

-여자보다 남자에게 더 많이 발생

이 있습니다.

 

 

동의어) 대퇴골두(고관절, 대퇴골) 무혈성(허혈성, 무균성) 괴사

 

진행과정
 

 

 

원인은 다양하지만 진행은 유사하게 일어납니다.

 

 

 

 

진행순서는

 

1) 혈액 공급을 충분히 받지 못한 뼈(대퇴골두)가 괴사(죽음) 및 붕괴

2) 뼈가 함몰

3) 관절 연골까지 손상

4) 관절염으로 진행

 

증상

 

초기에 특별한 증상이 없다가,

'고관절 통증'이 대부분 첫 증상으로 나타나게 됩니다.

-서혜부(사타구니)와 엉덩이에 통증이 느껴짐

 

 

질병이 진행됨에 따라,

-걷거나 활동할 때 고관절 및 엉덩이 통증이 심해지고 움직이기 어려워 절뚝거림

-양반다리 하고 앉는 것이 힘듬

-대퇴골두 함몰이 심해지면 다리길이가 짧아짐

 

 

 

 

이 질병은 초기에 진단 받으면 회복될 가능성이 크므로, 조기 진단이 중요합니다.

 

 

 

치료

 

치료의 방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1) 특별한 치료를 하지 않고 그대로 경과 관찰을 할 수 있는 경우

 

 

 

 

2) 중심부 감압술

: 대퇴골두에 큰구멍 또는 작은 구멍들을 뚫어 괴사부위의 압력을 줄이고

새로운 혈관을 생성시켜 고관절에 영양 공급을 시키는 방법.

고관절 괴사가 조기에 발견된 경우 효과적인 치료.

 

 

 

3) 혈관부착 비골 이식술

 

: 혈액이 공급되고 있는 비골의 골 일부를 채취하여 대퇴 경부 및 골두에 이식하는 방법.

골괴사가 발생한 부위에 동맥 및 정맥을 재연결시키는 데 도움이 되는 치료.

 

 

 

4) 회전 절골술 또는 구제술

 

: 대퇴골두를 전방 도는 후방으로 회전시키거나 내반시켜서 괴사된 부위를 멀리하여

체중을 지탱하는 부위에 건강한 뼈와 연골이 오도록 하는 방법.

 

 

 

 

5) 인공 관절 삽입술 (고관절 치환술)

 

: 손상받은 연골 및 뼈를 인공삽입물로 교체하는 방법.

골괴사에서 골두 붕괴까지 진행되었다면 가장 효과적인 치료.

 

 


여기까지 대퇴골두 무혈관성 괴사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더 나은 재활을 위해

더피지오가 항상 함께 하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