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정보

황혼의 불청객 파킨슨 2편 - 진단과 약물치료

by 더피지오 2022. 2. 25.

 


 

안녕하세요 더피지오입니다.

 

'황혼의 불청객' 파킨슨 병.

이번 포스팅에서는 파킨슨병의 진단과 약물치료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파킨슨 병의 진단

파킨슨 병을 확진할 수 있는 검사는 따로 없습니다.

나타난 대표 증상들과 도파민 제제에 증상이 완화되는 반응들을 종합한

전문의의 진찰 소견이 가장 중요한 진단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뇌 PET 촬영

-MRI

-후각이상 검사

-인지심리검사

-자율신경기능검사

등이 진단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파킨슨 병의 약물치료
 

 

 

 

1) 레보도파

: 도파민의 양을 증가시킴

 

도파민은 혈뇌 장벽을 통과할 수 없기 때문에 전구물질인 레보도파의 형태로 투여하게 됩니다.

레보도파는 대부분 체내에서 분해가 되고 투여량의 1% 정도 만 뇌에 도달하게 됩니다.

 

대표적인 레보도파 제제로는

-스테레보, 퍼킨, 시네메트, 마도파, 도파듀오, 프로매트 등이 있습니다.

 

*레보도파는 흡수율을 높이기 위해 공복에 복용하는 것을 권유하기도 합니다.

 

 

 

2) 도파민 수용체 작용제

: 선조체의 도파민 수용체를 자극해서 도파민의 양을 늘리지는 않지만 도파민에 대한 감수성(반응)을 높임

 

-리큅, 미라펙스, 파키놀 등이 있습니다.

 

 

 

3) 도파민 분해효소 억제제

: 도파민이 분해되는 양을 줄여 줌

 

-마오비 억제제, 콤트 억제제 등이 있습니다.

 

 

약물치료의 부작용

-오심

-구토

-식욕부진

-환각 등

 

너무 심할 경우 약 투여가 곤란 할 수 있으므로 부작용이 나타나면

담당 의사와 상의 후 약 종류를 변경하거나 투약시간대를 보정하여 부작용을 관리하는 조치가 필요합니다.

 

 

약효 소진현상

파킨슨병은 다른 퇴행성 뇌질환과 비교 했을 때 초기 약물 치료효과가 좋은 편에 속합니다.

하지만 이 기간이 지나면 약물효과가 점점 떨어지는 ‘약효 소진현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무력감, 떨림, 근력저하, 통증 행동 느려짐 등 다양하게 나타나게 됩니다.

 

 

 

 

이상운동증

파키슨병 후기로 갈수록 약의 효능과 작용하는 시간이 짧고 불규칙해지며, 관리하기 힘들게 됩니다.

 

 

 

파킨슨 병은 계속 진행되는 진행성 퇴행성 질환이므로, 발병하여 약을 복용하게 되면 계속해서 복용을 해야 합니다.

약을 임의로 줄이거나 중단 또는 미루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여기까지 파킨슨의 진단과 약물치료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다음시간에는 파킨슨의 재활과 운동 프로그램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더 나은 재활을 위해

더피지오가 항상 함께 하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