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정보

연하곤란(삼킴 장애), 아는 만큼 빨리 낫는다. (1편)

by 더피지오 2022. 3. 14.

 

 

안녕하세요.

'더피지오 방문운동서비스' 입니다.

 

오늘은 연하장애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다양한 이유로 연하장애가 나타날 수 있는데요.

대표적으로 신경계질환 중에 뇌졸중, 파킨슨 등이 있습니다.

 

연하장애는 조기에 진단해서 치료할 수록 회복률이

훨씬 높은 만큼 얼른 알아보러 가볼까요?

 


 

연하(삼킴, swallowing)란?

 

짧은 시간 내에 구강에서부터 식도까지의 움직임이 정교하게 조절되어

음식물이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위장까지 전달되도록 하는 복합적인 과정.

 

→이를 위해 구강 및 인두근육들의 순차적이고 잘 조화된 수축, 이완을 필요

 

 

 

 

연하장애의 원인

 

구강인두근육들의 조화로운 움직임은 아래 3가지가 정상적인 기능을 해야함.

 

1) 뇌간 부위의 연하중추

2) 연하 중추에 영향을 미치는 양측 대뇌반구

3) 감각정보와 근수축 신호를 전달하는 뇌신경

 

→ 이 중 하나라도 이상이 생기는 경우 발생가능

 

 

 

 

연하장애의 증상

 

1. 씹기 어려움

 

2. 삼킴 시작이 어려움

 

3. 삼킨 후 목에 이상감/음식물의 잔류감

 

4. 코로 역류됨

 

5. 삼킴지연

 

6. 침흘림

 

7. 식후 목소리의 변화 감소

 

8. 식사 중 혹은 식후에 기침, 목메임

 

 

 

 

 

대표적인 합병증

 

1) 탈수증과 영양실조: 적절한 양의 음식물을 섭취 할 수 없게 되어 발생

 

2) 흡인성 폐렴: 음식물이 기도로 넘어가는 경우 발생

 

**기도를 막는 경우 질식을 일으켜 사망에 이를 수도 있으므로

조기에 발견하여 적절한 치료를 하는 것이 매우 중요

 

 

 

 

 

1. 병력청취 및 신체검진

 

1) 기침(reflex cough)

 

: 분비물 또는 음식물이 기도로 흡인됨으로써 정상적 반사작용에 의한 가장 흔한 증상

**급성기 뇌졸중 환자에서 발생하는 기도흡인 중 30~50%가

무증상 흡인(silent aspiration)을 보이므로 식사 중이나 식사 후에 기침을 하지 않는다고 하여

기도흡인이 없다고 단정 지어서는 안됨.

 

→이 밖에도 ‘식사 후 목소리 변화, 초우킹(choking),

음식물 삼키기의 어려움, 목구멍에 무언가 걸려 있는 느낌’ 등을 확인할 것

 

 

 

 

 

2) 명료한 의식상태 및 인지기능, 목 가누기

안전한 구강 식이의 전제조건이므로 중요하게 평가해야 함.

 

→저작근의 근력 및 저작 속도와 안면과 혀의 감각(삼차신경), 입술 오므리기(lip sealing)와

미각(안면신경), 후두 거상 (laryngeal elevation)의 정도 및 발성장애의 유무와

혀 후방 1/3의 미각(설인신경과 미주신경), 혀의 운동기능(설하 신경)을 각각 평가

 

 

 

 

 

 

3) 구역반사

혀의 기저부나 인두 후벽을 건드리면 인두벽과 연구개가 강력하고 대칭적으로 수축하는 반사로서,

만약 인두벽의 수축이 비대칭적이면 편측성 병변을 의심할 수 있음.

 

**연하기능의 평가에 있어 구역반사가 가장 널리 알려져 있으나, 정상인에서도 구역반사 가

소실되어 있거나 감소된 경우가 있으며, 심한 연하곤란 환자에서 정상적인 구역반사를 보이는 경우도 있음을 유의

 

 

 

 

 

2. 침상선별검사(Bedside screening tests)

 

가장 흔히 사용되는 간단하고 대표적인 침상검사로는 물을 먹는 중이나

먹은 후에 기침을 하는가 혹은 젖은 목소리를 내는가를 검사하는 방법(water swallow test)

 

*이때 삼키게 되는 물의 양은 보통 30-50 mL 정도가 많이 사용됨

 

 

 

3. 비디오투시 연하검사(VFSS)

 

연하곤란의 유무 및 정도 뿐만 아니라 연하곤란의 기전을 확인하고

치료방침을 설정하는 데 도움을 주는 가장 확실한 표준검사(gold standard)

 

*임상적 검사를 통해서는 무증상 흡인(silent aspiration)을 발견할 수 없으며,

이러한 무증상 흡인의 발생률이 높다는 점 등은 비디오투시 연하검사의 유용성을 부각시킴

 

 

 
 
 
 
 

조영제(바륨)를 섞은 물이나 여러 가지 음식물을 씹거나 삼키면서

X-선으로 투시하므로, 구강, 인두, 식도의 구조적 이상과 움직임을

가장 효과적으로 평가할 수 있으며, 기도흡인 여부를 직접 확인할 수 있고,

개개인에게 적합한 식이나 연하자세 및 방법을 결정할 수 있음

 

 

 

 

흡인의 위험성이 적고 효과적으로 인두를 통과하게 되는

음식물의 점도, 텍스처, 양 등을 확인하고, 한국의 음식문화 특성을 고려하여

희석한 바륨, 요거트, 푸딩, 죽, 밥 등의 여러 가지 검사식이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턱 당김(chin tuck), 고개 돌림(head rotation), 고개 기울임(head tilting) 등의

자세에 대한 효과와 상부 성문 연하(supraglottic swallow), 멘델슨 기법(Mendelsohn maneuver) 등의

효과를 검사 중에 직접 확인하여 환자에 따른 적절한 연하자세와 식이처방을 하는 것이 좋음

 

 

 

4. 광섬유내시경 연하검사

 

신속하고 이동성이 있으며 비교적 안전하게 침상에서 평가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

비디오투시 연하검사를 보완하는 검사로서 추천

 

*하지만 시야가 좁고 구강기와 식도기를 볼 수 없으며, 인두기에서도 후두 상승이나 인두의 수축,

상부 식도 괄약근의 이완과 같은 매우 중요한 연하기전을 확인 할 수 없음

 


여기까지 연하장애

원인,합병증 및 진단 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그럼 다음 시간에는

연하장애의 치료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려요 :)

 

더 나은 재활을 위해

더피지오가 항상 함께 하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