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정보

치매국가책임제, 60세 이상 어르신 대상 치매검사 무료로 진행하시는 거 알고 계시나요? 치매검사단계부터 비용까지 알아보아요!

by 더피지오 2022. 5. 10.

 


안녕하세요 더피지오 입니다.

오늘은 '치매국가책임제-치매검사'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치매는 빠르게 진단받아야 치료와 일상적인 도움을 받을 수 있는데요.

치매검사가 어떤 단계로 이루어지고,

국가에서 치매검사에 대해 지원해주는 '치매국가책임제'란 무엇인지 알아볼까요?

 

 

 

 

[치매검사 절차]

 

치매가 의심되는 노인은 3단계 검사를 통해

치매여부 및 치매원인을 확인 후 본인에게

맞는 약물·비약물 치료를 받게 된다.

 

 

 

 

 

[치매검사 절차]

 

① 단계 - 선별검사

먼저 선별검사를 통해 인지기능 저하 여부를

검사받을 수 있으며,

선별검사 결과 인지저하로 분류된 노인은

다음 단계인 진단검사를 받는다

 

*우리나라에서는 선별검사 수행을 위한 도구로 MMSE-DS 검사를 널리 사용 중

 

 

 

 

 

[치매검사 절차]

 

② 단계 - 진단검사

진단검사를 위해서는 임상심리사 또는

전문적인 훈련을 받은 간호사가

인지저하 노인을 대상으로 신경인지검사를

수행 후, 신경인지검사결과를 바탕으로

전문의가 대상자를 진찰 후 치매를 진단한다

 

 

 

 

 

 

[치매검사 절차]

 

*신경인지검사

대상자의 기억력, 언어능력, 시공간 지각능력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치매 전문검사

 

*우리나라에서는

CERAD-K(정신과), SNSBⅡ(신경과)를

널리 사용 중

 

 

 

 

 

 

[치매검사 절차]

 

③ 단계-감별검사

진단검사에서 치매로 진단받은 노인은

감별검사를 통해 치매 원인을 확인할 수 있다

 

* 감별검사에서는

뇌 영상 검사(CT, MRI), 혈액검사를 실시

 

 

 

 

[치매국가책임제]

1.선별검사

치매안심센터(무료)

 

2.진단검사

치매안심센터(무료)

병원

-CERAD-K : 6만5000원,

SNSB : 15만 원

 

 

3.감별검사

 

병원

 

혈액 및 컴퓨터 단층촬영(CT) : 5~6만 원

 

자기공명영상(MRI) 검사 : 14~33만 원

 


여기까지 치매검사

단계 와 치매국가책임제 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그럼 다음 시간에도 어르신 건강관련 유용한 정보를

가지고 찾아뵙겠습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려요 :)

 

 

 더 나은 재활을 위해

더피지오가 항상 함께 하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