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정보

모야모야병에 걸려도 관리만 잘하면 건강하게 생활할 수 있을까요? 모야모야병 7가지 진단법 부터 알아보아요!

by 더피지오 2022. 5. 2.

 


안녕하세요 더피지오 입니다.

오늘은 '모야모야병'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모야모야병은 정확한 발병 원리나 원인이 밝혀지지 않아

더욱 불안한 질병인데요.

모야모야병, 오늘은 어떠한 방법들로 진단을 할 수 있을지

알아보러 갈까요?

 

 

 

 

[모야모야 병의 진단]

 

1) 병력 및 임상증상

 

- 간헐적으로 팔과 다리의 힘이

빠지거나 감각 이상이 동반

 

- 과호흡을 하는 경우

(심하게 울때/매운 음식을 먹을때/관악기를 불 때)

증상이 심해지거나 뚜렷하면

모야모야병을 먼저 의심해 보아야 함.

 

[모야모야 병의 진단]

 

2) 뇌자기 공명영상(MRI)

 

뇌혈관조영술에 비해

비침습적이고 안전한 검사

 

그러나 혈관 협착이 과장되게 나타나는 경우가 있고

뇌 기저부의 모야모야 혈관을 자세히 평가할 수 없는

경향이 있어 병기 평가보다는

선별 검사 및 수술 후 추적관찰에 사용됨.

 

 

[모야모야 병의 진단]

 

4) 뇌혈관조영술

 

모야모야병의 확진을 위한

표준적인 검사양측 내경동맥 조영 영상에서

내경동맥 원위부 및 전대뇌동맥과

중대뇌동맥의 근위부가 좁아져 있거나

막혀 있는 것이 확인되면

모야모야병으로 진단함.

 

 

[모야모야 병의 진단]

 

5) 뇌혈류검사

 

수술 후 경과를 추적 관찰할 때

매우 유용한 검사뇌혈류량에 대한

기능적 평가를 위해서 필요함.

모야모야병의 치료방침과 예후를

결정하는데 도움이 됨.

 

- 단광자방출단층촬영 (SPECT)

- 관류 뇌자기공명영상 (Perfusion MRI)

 

 

[모야모야 병의 진단]

 

6) 뇌파

 

모야모야병 환자의 경우에는

과호흡이 끝난 수 분 후까지 고진폭의 서파가

지속되거나 과호흡 후 잠시 고진폭의 서파가

줄어들다가 불규칙해진 고진폭의 서파가

다시 나타나는(Rebuildup) 소견을 보일 수 있음.

 

 

 

[모야모야 병의 진단]

 

6) 뇌파

 

이러한 뇌파의 이상은

어린이에서 더 많이 관찰됨.

 

뇌파의 이상은 진단에 도움이 될 수 있으며

수술 후 추적 관찰 시에도 뇌혈류의 회복 정도를

관찰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음.

 

 

[모야모야 병의 진단]

 

7) 신경인지기능검사

 

전대뇌동맥 영역은 발달 과정에 있는

환아의 인지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함.

 

환아의 상당수에서 IQ는 정상 범위이나

인지기능은 저하되어 있는 것으로 밝혀져 있으며

신경인지기능검사가 이러한 환아를 치료 전후로

평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음.

 

 


여기까지 모야모야병

진단법 7가지 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그럼 다음 시간에는 모야모야병의 치료법

가지고 찾아뵙겠습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려요 :)

 

 

더 나은 재활을 위해 더피지오가 항상 함께 하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