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더피지오 입니다.
오늘은 '모야모야병'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모야모야병은 정확한 발병 원리나 원인이 밝혀지지 않아
더욱 불안한 질병인데요.
모야모야병, 오늘은 어떠한 방법들로 진단을 할 수 있을지
알아보러 갈까요?

[모야모야 병의 진단]
1) 병력 및 임상증상
- 간헐적으로 팔과 다리의 힘이
빠지거나 감각 이상이 동반
- 과호흡을 하는 경우
(심하게 울때/매운 음식을 먹을때/관악기를 불 때)
증상이 심해지거나 뚜렷하면
모야모야병을 먼저 의심해 보아야 함.

[모야모야 병의 진단]
2) 뇌자기 공명영상(MRI)
뇌혈관조영술에 비해
비침습적이고 안전한 검사
그러나 혈관 협착이 과장되게 나타나는 경우가 있고
뇌 기저부의 모야모야 혈관을 자세히 평가할 수 없는
경향이 있어 병기 평가보다는
선별 검사 및 수술 후 추적관찰에 사용됨.

[모야모야 병의 진단]
4) 뇌혈관조영술
모야모야병의 확진을 위한
표준적인 검사양측 내경동맥 조영 영상에서
내경동맥 원위부 및 전대뇌동맥과
중대뇌동맥의 근위부가 좁아져 있거나
막혀 있는 것이 확인되면
모야모야병으로 진단함.

[모야모야 병의 진단]
5) 뇌혈류검사
수술 후 경과를 추적 관찰할 때
매우 유용한 검사뇌혈류량에 대한
기능적 평가를 위해서 필요함.
모야모야병의 치료방침과 예후를
결정하는데 도움이 됨.
- 단광자방출단층촬영 (SPECT)
- 관류 뇌자기공명영상 (Perfusion MRI)

[모야모야 병의 진단]
6) 뇌파
모야모야병 환자의 경우에는
과호흡이 끝난 수 분 후까지 고진폭의 서파가
지속되거나 과호흡 후 잠시 고진폭의 서파가
줄어들다가 불규칙해진 고진폭의 서파가
다시 나타나는(Rebuildup) 소견을 보일 수 있음.

[모야모야 병의 진단]
6) 뇌파
이러한 뇌파의 이상은
어린이에서 더 많이 관찰됨.
뇌파의 이상은 진단에 도움이 될 수 있으며
수술 후 추적 관찰 시에도 뇌혈류의 회복 정도를
관찰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음.

[모야모야 병의 진단]
7) 신경인지기능검사
전대뇌동맥 영역은 발달 과정에 있는
환아의 인지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함.
환아의 상당수에서 IQ는 정상 범위이나
인지기능은 저하되어 있는 것으로 밝혀져 있으며
신경인지기능검사가 이러한 환아를 치료 전후로
평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음.

여기까지 모야모야병의
진단법 7가지 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그럼 다음 시간에는 모야모야병의 치료법을
가지고 찾아뵙겠습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려요 :)
더 나은 재활을 위해 더피지오가 항상 함께 하겠습니다.

'건강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하곤란 삼킴장애 단계별 음식 섭취 가이드 (0) | 2022.05.04 |
---|---|
모야모야병에 걸려도 관리만 잘하면 건강하게 생활할 수 있을까요? 모야모야병 치료법에 대해 알아보아요! (417) | 2022.05.03 |
노인낙상검사 '4단계 균형평가' 낙상위험성 간호진단 중 하나. (0) | 2022.04.25 |
모야모야병, 관리만 잘하면 건강하게 생활할 수 있을까요? 모야모야병 기본정보, 증상부터 알아보아요! (0) | 2022.04.25 |
낙상검사 '30초동안 의자에서 일어서기 검사' 검사하고 미리 예방하세요! (0) | 2022.04.21 |
댓글